202557 [02-1] 제어 문자 - 02 printf 함수로 출력시 행을 바꾸기 위해서는 제어 문자를 사용해야 한다.제어 문자란 문자는 아니지만 출력에 영향을 주는 문자를 의미한다.\n : 줄 바꿈\n을 만나게 되면 커서가 다음 줄로 이동하게 된다.\t : 다음 탭으로 이동\t를 만나게 되면 커서가 다음 탭으로 이동하게 된다.모니터에서 한 탭은 8칸으로 1~8번에 커서가 위치하면 다음 탭인 9번으로 이동한다.\b : 한 칸 왼쪽으로 이동Goot까지 실행 후 \b를 만나 커서가 t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이후 문자 d를 만나 t가 d로 바뀌고 출력은 Good가 된다.\r : 맨 앞으로 이동Cow 실행 후 \r을 만나 커사가 맨 앞인 C의 위치로 이동한다.이후 W를 만나 C가 W로 바뀌고 출력은 Wow가 된다.\a는 만나면 알람 소리를 낸다. 2025. 7. 6. [02-1] main 함수 - 01 main 함수main 함수는 프로그램의 시작을 의미하는 함수로 프로그램에 필수적인 요소이다.이 함수가 없으면 링커가 프로그램의 시작점을 찾지못해 실행할 수 없다.main 함수 구조main 함수는 head와 body로 구성된다.head함수 이름이나 필요한 데이터를 표시하는 곳을 head라 부른다.body{}안에 작성하며, 함수가 실행할 일을 작성하는 곳을 body라 부른다.마지막에는 return 0;를 통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함수 작성 규칙1. 세미콜론(;)을 사용해 문장의 끝 표시컴파일러는 세미콜론이 있는 지점까지 한 문장으로 인식한다.여러줄의 코드에 세미콜론이 없다면 컴파일러가 한 문자으로 인식해 에러가 발생한다.2. 한 줄에 한 문장씩 작성여러 줄로 표현해도 무관하나 가독성을 위해 한 줄에 한 문장.. 2025. 7. 6. [01-2] 컴파일과 컴파일러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은 소스 파일을 작성해 컴파일후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소스 파일C언어로 작성한 문서를 뜻하며 인간이 이해하기 위한 파일이다.이 파일은 컴퓨터가 이해하지 못한다.컴파일소스 파일을 컴퓨터가 이해하기 위해 0, 1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컴파일이라 한다.컴파일러컴파일을 실행해주는 프로그램이다. 대표적으로 비쥬얼 스튜디오가 있다.컴파일 과정컴파일 과정은 크게 전처리 - 컴파일 - 링크 3단계로 분류된다.1. 전처리소스 파일을 전처리 지시자에 따라 가공하는 과정이다.대표적인 전처리 지시자가 #include이다.주로 소스 파일을 컴파일러에 맞게 가공하는 일로 파일 형태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2. 컴파일전처리된 소스 파일을 기계어로 변경하는 과정.컴파일이 완료되면 소스.. 2025. 7. 6. [01-1] C언어란? C언어란 OS를 개발할 목적으로 만든 언어이다.C언어의 장점1. 시스템 프로그래밍 가능C언어는 OS를 개발할 목적으로 만든 언어이므로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시스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 (CPU, 메모리 등에 접근 가능)2. 이식성을 갖춘 프로그래밍 가능이식성이란 다른 기종의 컴퓨터에서도 프로그램이 올바르게 작동하는 것을 의미한다.표준에 맞게 프로그래밍 한다면 다양한 환경에서 동일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게된다.3. 함수를 사용한 개별 프로그래밍 가능함수를 통해 프로그램을 모듈화 하여 디버깅과 유지보수에 도움을 준다. 2025. 7. 6. AC Test - Strobe (02) StrobeAC Test에서 언제 검사할지 알려주는 타이밍 신호Strobe 종류1. Edge Strobe특정 edge에만 strobing하는 방식2. Window Strobeedge를 기준으로 전,후로 시간을 두고 strobing하는방식Test신호의 진동이 존재하기 때문에 Test 품질이 더 뛰어나다.하지만 Device가 고속 동작으로 변해가면서 Test timing을 맞추기가 불가능해 현재는 edge strobe 방식만 사용한다.Strobe ModeStrobe Mode에는 Linear Search, Binary Search 2가지 방식이 있지만, 두 방식 모두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1. Linear Search시작점을 기준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strobing을 진행한다.유효 지점을 찾기까지 오랜 시.. 2025. 6. 29. AC Test - Time Test (01) Setup Time TestClock의 Edge 이전에 Valid data가 입력되어야 정상적으로 입력값을 읽을 수 있다.즉 Valid data가 입력된 순간과 Edge 사이의 시간을 확인하는 Test이다.Hold Tiem TestEdge 이후에 입력된 data값이 유지되어야 정상적으로 출력값을 내보낼 수 있다.즉 Edge 부터 입력 data가 변하는 순간 까지의 시간을 확인하는 Test이다.Propagation Delay Time TestEdge에 data가 입력된후 출력으로 나오기 까지의 시간이다.이 시간은 Device의 synchronous를 위해서 확인해야할 파라미터이다.Minimum Pulse Width Test여러 delay들을 고려해 Device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한 최소 Pulse W.. 2025. 6. 29. 이전 1 2 3 4 5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