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C10

[03-1] 변수 (변수 선언 방법) - 01 변수변수란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을 말한다.박스에 비유하면 자료형은 박스의 종류, 변수명은 박스의 이름, 변숫값은 박스에 담긴 내용물이다.변수 선언데이터는 종류별로 다양한 형태로 사용하는데, 각 형태를 자료형이라 부른다.기본적으로 정수는 int, 실수는 double, 문자는 char, 문자열은 char 배열로 선언해 준다.변수 선언 방법1. 자료형과 변수명 선언데이터 종류에 맞는 자료형을 왼쪽에 이때의 변수명을 오른쪽에 선언해 준다.위의 선언을 하면 메모리에 각 자료형의 변수명을 가진 공간이 생긴다. (int a = 4바이트의 메모리 공간에 a라는 이름을 부여하겠다.)2. 변숫값 대입메모리 공간은 프로그램 마다 재활용 되므로 새 프로그램 실행시 메모리 공간에 의미 없는 쓰레기 값이 존재할 수 있.. 2025. 7. 6.
[02-2] 컴파일된 상수의 비트 표현 - 04 상수 종류크기(byte)크기(bit)바뀌는 형태정수4322진수실수864IEEE 754 표준 dobule형문자432아스키 코드에 대응하는 2진수상수는 컴파일 되면 비트로 변환된다.데이터 크기가 커질수록 사용가능한 숫자도 커진다. 하지만 더 많은 데이터를 사용한다.정수, 실수 상수의 컴파일기본적으로 정수는 32bit, 실수는 64bit 로 컴파일 되며 같은 수인 1과 1.0을 컴파일 해도 컴퓨터는 다르게 인식한다.정수가 크기도 작고 가장 빠르고 정확하기 때문에 정수 상수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실수는 소수부를 2진수로 표현하기 때문에 오차가 발생한다.문자 상수의 컴파일문자는 아스키 코드에 대응하는 값의 32bit 2진수 표현으로 컴퓨터가 인식한다.컴파일 된 정수 상수 비트 형태양수 표현32bit를 가정했을.. 2025. 7. 6.
[02-2] 상수 데이터 표현 방법 (문자, 문자열 상수) - 03 문자, 문자열 상수 표현문자는 ' ', 문자열은 " "로 묶어 표현한다.상수 A를 출력 2025. 7. 6.
[02-2] 상수 데이터 표현 방법 (실수 상수) - 02 실수 상수 표현법실수 상수는 0 - 9, +, - 기호와 소수점을 사용한다.실수 상수는 주로 지수 형태로 표기한다.C 언어 상에서 지수 형태는 밑수 10을 e로 표현 한다. (10^-5 = e-5 = E-5)정규화 표기법소수점을 다양한 지수 형태로 표기 했을때, 소수점 앞에 0이 아닌 유효 숫자로 표현한 것을 정규화 표기법이라 한다.0.000314 = 3.14e-5지수 형태를 실수로 표현실수를 지수 형태로 표현기본적으로 정규화 표기법으로 지수 형태가 표현되며 유효하지 않은 숫자를 표현하지 않기 위해 .n을 사용한다. 2025. 7. 6.
[02-2] 상수 데이터 표현 방법 (정수 상수) - 01 C 언어에서 다루는 데이터는 정수, 실수, 문자, 문자열이다.데이터 형태로는 값이 바뀌는 변수와 값을 바꿀 수 없는 상수가 있다.정수 상수 표현법정수 상수는 0 - 9, +, - 기호를 사용한다.정수 상수를 표현할때는 10, 8, 6진수를 통해 표현한다.2진수는 표현이 길어지기 때문에 비트 연산자 같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하지 않는다.진법을 통한 정수 상수 표현1,2등의 동일한 상수 표현이 존재하기 때문에 진법 구별을 위해 8진수는 앞에 0, 12진수는 0x를 붙인다.10진수를 각 진법의 정수 상수 표현%o, %x를 통해 8진수, 16진수로 표현 가능하며, 16진수는 대, 소문자로 출력 가능하다. 2025. 7. 6.
[02-1] 변환 문자 - 03 printf 함수는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출력하기 때문에 숫자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변환 문자를 통해 숫자를 문자열로 변환해야 한다. %d : 정수 변환 문자" ", 이후 정수를 작성해 %d 위치에 정수 10이 출력된다.%lf : 실수 변환 문자%d와 사용법은 동일하며, 소수점 6번째 자리까지 출력한다.잘리는 값은 반올림해 준다.%.nlf : 소수점 자릿수 지정n에 표현하기 원하는 소수점 자리를 작성하여 출력한다.잘리는 값은 반올림해 준다.여러 변환 문자 사용수식 사용도 가능하다. 2025. 7. 6.